아르바이트 4대보험 가입기준 중요한 이유
요즘은 대학생 때부터 아르바이트를 통해서 용돈을 마련하려는 분들이 참 많죠. 하지만 정규직 채용과는 달리 사업주는 비용의 증가를 이유로, 아르바이트는 실 수령액 감소라는 이유로 4대보험에 가입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하지만 산재보험은 무조건 가입해야 한다는 아르바이트 4대보험 가입기준을 들어보셨나요? 그렇다면 어떤 기준이 있는지 알아볼게요.
“단시간 근로자”의 정의
사실 우리가 많이 쓰는 아르바이트라는 용어는 법에서 쓰이는 용어는 아니에요. 그 대신 단시간 근로자로 불리죠. 근로기준법에서는 해당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다른 직원에 비해 1주 동안 근무하는 시간이 현저히 짧은 근로자로 정의하고 있어요.
우선, 아르바이트 4대보험 가입기준에서는 사업장이 1명 이상의 직원을 채용하는 경우 가입대상이 되요. 다만 적용 제외 대상인 경우에는 가입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어요.
4대보험 가입기준 적용 제외 대상은?
국민연금: 1개월 동안 주 평균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월 60시간) 미만인 직원, 1개월 내에 근로계약이 끝나는 직원, 일용근로자 등
건강보험: 1개월 동안 월 60시간 미만 근무를 한 직원
고용보험: 1개월 동안 주 평균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월 60시간) 인 경우(단, 3개월 이상 계속 근무를 한다면 해당 조건에서 적용 제외)
산재보험: 무조건 전부 가입
그렇다면 4대보험은 왜 가입해야 할까요?
사실 아르바이트까지 하면서 무슨 4대보험까지 가입하냐고 하는 분들이 대부분이죠. 눈에 보이는 혜택은 없고 나가는 돈만 있는 것 같으니까요. 하지만 4대보험을 가입했다면 다음과 같은 취업촉진 수당을 받을 수 있어요.
취업촉진 수당은 다음과 같이 아르바이트 4대보험 가입기준에 따르면 4가지로 나뉘는데요, 해당 기준을 만족할 시 받을 수 있게 되요.
조기재취업 수당: 수습기간이 끝나기 30일 이상 남기고 재취업에 성공하여 6개월 이상 근무한 경우
능력개발 수당: 재취업을 위해 직업훈련개발훈련을 받는 경우
광역구직 활동비: 직업안정기관 소개로 25km 떨어진 지역에서 구직하는 경우
이주비: 취업.직업능력개발훈련으로 주거를 이전한 경우
이렇게 아르바이트 4대보험 가입기준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시간만 소비하는 아르바이트보단 되도록 내가 취업하고자 하는 분야에서 아르바이를 해 본 다면 취업에 훨씬 보탬이 될 것입니다.
'취업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분 자기소개 예시 이렇게 하라! (0) | 2020.04.06 |
---|---|
손익계산서 보는법 알아보고 지원회사 분석해보기 (0) | 2020.03.31 |
인터넷 실업급여 신청 한 번에 알아보기 (0) | 2020.03.19 |
경력기술서 작성방법 총정리 (0) | 2020.03.05 |
아르바이트 이력서 작성하는 방법 & 양식 다운로드 (0) | 2020.02.20 |